커세어(Corsair) K70 리뷰커세어(Corsair) K70 리뷰
Posted at 2014. 11. 13. 23:13 | Posted in 제품 리뷰/키보드, 마우스커세어 K70 청축 리뷰
게이밍 기계식 키보드인 Corsair(커세어)사의 K70 청축 리뷰를 하겠습니다.
K70 RGB 가 나왔는데, 이건 왜 샀냐? 라고 물으신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저 또한 그점에 대해서 의문과 짜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마존 개식기들;;;;
아무튼 커세어 K70 에 대해서 리뷰를 시작하겠습니다.
아까 리뷰한 Razer DeathAdder 과 같이 한 컷을 했습니다. 멀리서 참조 출연해 주신
SD 카드 리더기도 보이고, 삼성 보급형 마우스 패드도 보입니다. (이 마우스 패드는 언제쯤 바꾸련지....)
K70 을 위에서 볼 때의 모습입니다. 검은색 무광 제질에 빨간색으로 불이 들어옵니다.
추가 구성품들입니다. 이 모델이 FPS 게임용 키보드인 만큼, WASD 123456 키는 별도의
게이밍용 키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키캡은 위에 미끄럼 방지용 무늬를 해 놓았고,
게이밍 할때 손가락이 미끄러워지지 않고, 잘 버티고 게임을 할 수 있게 도움을 줍니다.
이 키캡에는 한국어가 써있지 않습니다. 아마 제 추측인데, 게이밍용이어서 그런듯 싶습니다.
키캡을 청소하거나, 게이밍용으로 교체 할때 쓰이는 키캡 리무버 입니다.
생긴건 요롷게 생겼습니다. 키캡을 잡는 부분이 날카롭거나 빡빡하지 않아서
키캡을 실수로 잘못 긁는다고 해도, 그닥 눈에 띄는 외상은 보이지 않습니다.
커세어 사용자 매뉴얼과, 워런티 가이드입니다. 한국 공식 수입된 제품들은
2년간의 무상 워런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뭐 내용은 뻔하니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모델은 체리사의 청축을 사용합니다. 한국 수입 제품에는 척축과 청축 2개가 있으며
갈축 등 다른 축들은 한국에 들어와 있지 않고, 해외 구매를 통해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청축은 게임할 때 가장 편리하다고 알고 있으며, 소리가 경쾌한 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소리가 경쾌한게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는게, 많이 들으면 너무 시끄럽습니다.
불을 끄고 전체적으로 촬영한 사진입니다.
키보드 기능 키 중에는 조명 조절 키가 있습니다. 이 키로 키보드 전체의 조명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총 3단계로 조정이 가능합니다. (사진상으로는 구분이 그닥 잘 안가서 올리지는 않겠습니다)
Caps Lock, Scroll Lock, Number Lock 이 키 3개는 키를 누를 시 키보드 상단 우측에 있는
상태 표시등에 불이 켜집니다.
키보드에는 게이밍 모드로 전환하는 키가 있습니다. 성능적으로 민감도가 올라간다던지, 그런 것은
없으나, 아까 말했듯이 FPS 게이밍에 필요한 WASD 123456 키에만 불이 들어오게 설정이 됩니다.
요롷게 말이죠.
특수 키들 중에는 Window 키를 Lock 하는 키가 있습니다. 말 그대로 윈도우 키를 사용 불가능 하게
설정하는 키 이고, 게이밍시 Alt를 누른다던지, Ctrl을 누르려다가, 윈도우키를 눌러서 윈도우 화면으로 빠져나가는
거지같은 상황을 없게 만들어 줍니다.
가장 마음에 든 점 중 하나가 볼륨 음소거 및 볼륨 조절 키가 키보드에 딸려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사진이 어두워서 잘 보이지는 않으나, 음소거 키 옆에 보시면 시스템의 볼륨을 조정할 수 있는 키가 있습니다.
윈도우 키 누르고 - 아래 하단바 클릭하고 - 볼륨 조정하고 - 다시 게임으로 돌아올 일이 없다는 말입니다.
USB포트 1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1234 의 바이오스 프로파일을 생성해서, 이 프로파일로
다른 컴퓨터에 꼽을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뭐 딱히 쓸모있는 기능이라고는....)
제가 이 제품을 사기 전에 가장 걱정을 하고 부담스러워 했던 점은 이
팜레스트 였습니다. 혹시나 분리가 안되나 해서 걱정을 했었는데, 분리는 아주 잘 됩니다.
애초부터 박스에는 분리된 상태로 들어옵니다.
개인적으로 팜레스트는 그닥 좋아하지 않는 편이나,
이 팜레스트는 고무 제질로 되어 있고, 약간의 구멍이 존재하여 땀이 적게 생깁니다.
살짝 아쉬운 점이 있다면, 스페이스바를 누르고 나서, 손을 놓을 때, 스프링 소리가 살짝 난다는 점입니다.
물론 청축 구조상 나는건 괜찮지만, 가끔은 거슬릴 수 있습니다. 또 한가지는
거지같이 비싼 가격입니다. 나온지 족히 1년은 되 보이는 이 상품이 왜 도대체 2014년에 나온 Razer 사의 BlackWidow
보다 기능은 떨어지고, 불빛 조정도 안되면서 왜 쓸데 없이 가격이 20만원인지 정말 궁금합니다.
이만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별도의 질문이 있으신 분들은
덧글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한에서 최대한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
'제품 리뷰 > 키보드, 마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zer Deathadder(레이저 데스에더) 리뷰 (0) | 2014.11.13 |
---|
Razer Deathadder(레이저 데스에더) 리뷰Razer Deathadder(레이저 데스에더) 리뷰
Posted at 2014. 11. 13. 14:58 | Posted in 제품 리뷰/키보드, 마우스Razer DeathAdder 리뷰
Razer 사의 DeathAdder (레이저 데스에더)에 대해서 리뷰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이 Razer 사에 대해서 간단한 소개를 하자면, 이 회사는 중국 게이밍 용품 만들어 내는 회사입니다.
게이밍 측면에서는 상당히 인지도가 높은 회사입니다. 레이저사의 대부분의 제품은
검은색 바탕에 초록색으로 이루어 져 있습니다.
레이저 제품중 가장 저렴하고, 엔트리 레벨인 DeathAdder 를 리뷰하겠습니다.
현재 사용중입니다.
생긴건 이렇게 생겼습니다. 오른손잡이용, 왼손잡이용, 2가지가 존재하는데
측면 매크로키 2개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매크로키는 RazerSynapse 라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조절이 됩니다. 이 프로그램은 이따가 소개 시켜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필자인 저는 오른손 잡이인 만큼 오른손 잡이용을 구매했습니다. 인체공학적인 설계로
오른손 잡이용은 오른쪽이 살짝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마우스 사용시 편합니다.
USB 연결 케이블은 섬유로 이루어 져있어서, 꼬임이 적습니다.
추가로 USB 단자 부분은 금도금이 되어있습니다. 은도아니고 구리도 아닌
금입니다. (사실 마우스에 이렇게 까지 해야할지 필자이자 구매자인 저도 의문입니다, 오디오 케이블도
아니고....;;) 나중에 필자에게 급전이 필요하면 여기 있는 금을 팔아서 몇일간은
먹고 살수 있겠습니다. 차라리 마우스를 팔지....
금! 금! 금! 입니다. 금은 쥐꼬리만큼 넣어놓고, 가격은 코끼리 꼬리만큼 추가시킨 듯
보입니다. 이넘들....;;
전원을 공급 시킨 모습입니다. 이렇게 마우스 중앙에 있는 레이저 사의 삼두사 로고에
초록색 불빛이 켜지고, 마우스 앞의 스크롤바에도 불이 들어옵니다.
조명이 너무 강해서 그닥 티가 안나는데, 밤에 불 다끄고 사용할때, 은근히 있어보이는
부분이고,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입니다.
정면에서 보았을 때 보이는 삼두사 로고입니다.
레이저 시냅스에 대해서 설명 하도록 하겠습니다.
레이저 시냅스는 레이저에서 공식 지원한 프로그램이며,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같은 마우스, 같은 환경 설정을 레이저 서버에 저장해서, 집에서 게임을 하던
피시방에서 게임을 하던, 같은 환경으로 게임을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평소에는 이런 구석에 숨어있습니다.
마우스의 5개의 버튼중 클릭 버튼을 제외한 4가지 버튼은
모두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습니다. 매크로 설정도 가능합니다.
버튼을 개당 지정할 수 있습니다. 위의 항목과 같은 점들을 조정할 수 있으며
매크로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입력할 수 있고, 딜레이도 입력이 됩니다.
마우스 성능을 조정하는 창입니다. 2013에디션에는 마우스 DPI(Dots Per Inch)가 6400이 최대입니다.
2014 크로마 에디션에는 10000DPI 까지 가능해 집니다. 솔찍히 6400 이어도 충분합니다.
여러분들이 만약 이 마우스를 구매하시고 시작부터 6400 DPI를 사용하신다면 마우스 조정 자체가
힘들겁니다. 처음에 사용하실 때는 낮은 DPI 부터 사용해 주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아까 보여드렸던 레이저 로고에 들어오는 초록색 불 빛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2014 크로마 에디션에는 다양한 색을 조정할 수 있으나, 2013 에디션에는 그냥 초록색 불빛이
들어오는 정도만 조정 할 수 있습니다. 그 단순히 불빛 조정하고 더 이쁜 기능만 추가 했다고 3만 5천원
정도를 더 먹고있는 레이저 사
특이한 점은 마우스 보정이 된다는 점입니다. 레이저 사의 마우스 패드를 구매시
해당 마우스 패드랑 마우스의 최적화된 민감도 및 보정을 적용해서 최고의 게임 플레이를 장담 할 수 있다고
주장을 하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은 마우스를 팔아 먹기 위한 개수작 이라고 보입니다.
뭔 마우스 패드가 4만원이 넘어가는지.....참.....나.....
레이저 마우스 패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저처럼 삼성 보급형 마우스 패드를 사용하셔도) 보정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완벽한 성능은 보장 할 수 없습니다.
단점이 한가지 있다면, 가끔 가다가 마우스 혼자 발광을 해서
클릭도 안하는데 클릭하는 무서운 경우가 발생합니다. 또 스크롤 바에 무지 사소한게 하나 끼면
뻐걱뻐걱 거리는 소리와 함께 많이 기분이 나빠집니다.
이만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별도의 질문이 있으신 분들은
덧글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한에서 최대한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
'제품 리뷰 > 키보드, 마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세어(Corsair) K70 리뷰 (0) | 2014.11.13 |
---|
라즈베리 파이 리뷰 #1편라즈베리 파이 리뷰 #1편
Posted at 2014. 11. 12. 23:59 | Posted in 제품 리뷰/기타RaspBerry PI(라즈베리 파이) 리뷰
본 리뷰에서 정확하지 않은 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오류 및 오타 난것 있으면
태클 걸어주세요 :D
라즈베리 파이에 대한 설명은 안해도 아실 거라고 믿고 리뷰를 진행하겠습니다.
사실 하기 귀찮은건 안비밀;;;
라즈베리 파이는 요렇게 생긴 교육용 테스트 기기입니다. 가격 역시 매우 저렴합니다.
5만원대 초반의 가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분들은 그냥 기판에 들어가는
원재료 가격만 받는 듯 합니다..... 또한 전기 소모도 적기 때문에 (시간당 3.5W) 웹 서버로
사용하는 분들도 많으시며 실용성이 좋습니다.
모델에는 A모델과 B모델이 존재합니다. 보통 모델 B를 많이 사용합니다.
리뷰하는 모델은 모델 B 입니다.
라즈베리 파이에는 100MBit 랜선, USB 2.0 포트 2개
오디오 연결 단자, GPIO 회로
화면출력은 HDMI 단자로 출력합니다.
아까 말씀 드렸다 싶이, 저전력이어서, 하드디스크는 사용하지 않고, SD 카드를 사용합니다.
OS 포함 해서 적당히 사용하시려면, 대충 4기가쯤은 필요합니다.
이에 따른 장점은, 만약 에러가 생겨서, 프로그램상으로 켜지지 않는다고 해도
그냥 쉽게 밀어버리면 해결이 됩니다.
파워 공급 장치는 여러분들이 쓰시는 안드로이드 기기의 핀으로 파워를 공급합니다.
편의점이나 다이소 가면 3천원이면 구할 수 있습니다 (용산은 1천원도 안하겠지만?)
라즈베리 파이에 파워를 꼽은 사진입니다. 전기를 않넣어 주어서 작동은 되지 않지만
대충 이렇게 생겼습니다. 자세한 구동은 2편을 참고해 주세요
영상 출력 단자인 HDMI를 꼽아본 사진입니다.
칩 위에 방열판이 존재하는데, 이 방열판은 1개당 5백원이나 하는 거금(?)을 들여서
구매해야 합니다. 없으면 상당히 뜨끈뜨끈해 집니다.
구동은 2편을 참고해 주세요;;
라즈베리 파이 부속품인, 케이스입니다. 이 케이스는 아크릴로 만들어졌고, 가격 또한 저렴합니다.
이 아크릴 케이스는 일반 회사에서도 판매하니까, 더 이쁜거 많이 있습니다
이렇게 SD 카드를 장착하고, 파워를 공급하고, HDMI를 꼽으면 시스템이 시작됩니다.
구동 사진 및 구동 방법들은 2편을 참고해 주세요
링크 ---> 클릭 <--- 언제 완료될지 모르겠네요;;;;;;;;;
이로써 라즈베리 파이 리뷰 1편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하드웨어적인 질문이 있으시다면, 덧글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한 도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윈도우] 테라리아 서버 만들기[윈도우] 테라리아 서버 만들기
Posted at 2014. 11. 2. 13:34 | Posted in 서버/게임 서버테라리아는 마인크래프트와 상당히 비슷한 게임입니다.
자원을 캐고, 집을 짓고, 몬스터를 잡고, 등 자유로운 게임플레이가 가능한
서바이벌 게임입니다.
이 게임에서는 혼자 게임을 할수도 있고, 여럿이 같이 하는 서버를 만들어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리눅스로 구동을 원하신다면
링크 를 클릭해 주세요
--------------------------------------------------
1. 서버 구동 프로그램 준비
서버 구동 프로그램인 TShock은 아래의 설명처럼 받아주세요
2. 자신의 테라리아 버전과 맞는 버전의 프로그램을 확인해 주신 뒤
초록색 버튼을 클릭해 파일을 받아주세요. 압축을 해제 하시고, TerrariaServer.exe 파일을 실행시켜주세요.
3. 이 화면이 뜨면 아주 정상적으로 된겁니다. 서버 구동은 거의다 왔습니다.
조금만 힘내세요!
4. 맵이 없으니까 뉴 월드를 만들어 줘야겠죠? n 키를 눌러주시고 엔터
5. 사이즈는 알아서 해주세요, 단! 서버 성능이 좋지 않은데
쓸데 없이 맵이 크면 랙이 걸릴 수 있으니, 조심하세요!
6. 맵 이름은 마음데로~
7. 이렇게 지형이 생성되고 있다고 뜹니다, 아무것도 하지 마시고
잠시 계시면 끝납니다.
8. 어떤 맵을 사용할것인가? 라는 질문이 있습니다. 방금 만든
맵을 사용해야죠! 1번을 치고, 엔터!
9. 서버 포트를 지정합니다, 포트 기본값은 7777입니다.
7777을 적어주시는게 정신건강과 무병장수에 도움이 될거에요 :)
10. 이렇게 이런 페이지가 뜨면 정상입니다. 현재 구동중이라는 말입니다.
11. 서버가 구동중이니, 서버를 관리해줄 어드민이 필요하겠죠?
잘 보시면 Join the game and type /auth ~~~~라고 뜹니다. 이 ~~~~~ 부분은
모두 다릅니다. 게임에 접속하셔서 /auth ~~~~를 치시면, 해당플레이어는
어드민이됩니다.
이 글에서는 포트포워딩을 다루지 않고 있습니다.
공유기를 사용하시거나, IPTV, IP전화 등을 사용하신다면
포트포워딩을 꼭 하셔야 합니다.
포트포워딩은 나중에 별도로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D
이만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
'서버 > 게임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테라리아 서버 만들기 (0) | 2014.11.02 |
---|
[리눅스] 테라리아 서버 만들기[리눅스] 테라리아 서버 만들기
Posted at 2014. 11. 2. 13:26 | Posted in 서버/게임 서버글을 쓰기 전에, 이 미천한 존재에게 티스토리 초대장을 선사해 주신
Ugenet님에게 특별한 감사를 표합니다 :D
테라리아는 마인크래프트와 상당히 비슷한 게임입니다.
자원을 캐고, 집을 짓고, 몬스터를 잡고, 등 자유로운 게임플레이가 가능한
서바이벌 게임입니다.
이 게임에서는 혼자 게임을 할수도 있고, 여럿이 같이 하는 서버를 만들어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만약 구동하실 서버가 윈도우면
링크 를 클릭해 주세요
--------------------------------------------------
1. 서버 구동 프로그램 준비
서버 구동 프로그램인 TShock은 아래의 설명처럼 받아주세요
2. 자신의 테라리아 버전과 맞는 버전의 프로그램을 확인해 주신 뒤
초록색 버튼을 우클릭 해주세요
3. 저의 경우 맥을 사용중입니다. 윈도우에서도 링크 복사하기라는 옵션이 있을 겁니다.
이 링크 복사하기를 클릭해 주세요. 만약 없으시다면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4. 테라리아 서버를 구동할 디렉토리를 만들어 주세요. 이름은 아무거나 해도 좋습니다
그 디렉토리로 이동을 해 주세요. (cd 해당 디렉토리)
5. wget을 이용해서 프로그램을 받아주세요.
wget 아까 복사한 주소 를 해주세요.
6. 해당 폴더를 확인해 보시면, 파일이 하나 있을 겁니다.
unzip 파일이름 으로 집을 풀어주세요
--------------------------------------------------
2. 리눅스 서버에 MONO설치
테라리아 서버는 윈도우 OS 에서 돌아가도록 만들어졌습니다.
윈도우 프로그램을 돌리려면, 가상으로 돌려야 합니다.
그 가상으로 돌려주는 프로그램이 MONO입니다.
1. sudo apt-get install mono-complete 를 입력해, MONO 설치를 시작합니다.
2. 저의 경우에는 이미 설치해서 이렇게 뜹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
3. 서버 만들기
이제부터는 서버를 구동하는 작업을 할 예정입니다.
잘 따라와 주세요
1. mono TerrariaServer.exe 를 이용해 서버를 열어주세요!
만약 24시간 서버를 돌리시려고 하신다면, Screen mono TerrariaServer.exe 명령어로 해주세요
Screen 명령어가 없다고 뜨면, sudo apt-get install screen 을 해주세요
2. 이 화면이 뜨면 아주 정상적으로 된겁니다. 서버 구동은 거의다 왔습니다.
조금만 힘내세요!
(사실 저도 힘듭니다)
3. 맵이 없으니까 뉴 월드를 만들어 줘야겠죠? n 키를 눌러주시고 엔터
4. 사이즈는 알아서 해주세요, 단! 서버 성능이 좋지 않은데
쓸데 없이 맵이 크면 랙이 걸릴 수 있으니, 조심하세요!
5. 맵 이름은 마음데로~
6. 이렇게 지형이 생성되고 있다고 뜹니다, 아무것도 하지 마시고
잠시 계시면 끝납니다.
7. 어떤 맵을 사용할것인가? 라는 질문이 있습니다. 방금 만든
맵을 사용해야죠! 1번을 치고, 엔터!
8. 서버 포트를 지정합니다, 포트 기본값은 7777입니다.
7777을 적어주시는게 정신건강과 무병장수에 도움이 될거에요 :)
9. 이렇게 이런 페이지가 뜨면 정상입니다. 현재 구동중이라는 말입니다.
10. 서버가 구동중이니, 서버를 관리해줄 어드민이 필요하겠죠?
잘 보시면 Join the game and type /auth ~~~~라고 뜹니다. 이 ~~~~~ 부분은
모두 다릅니다. 게임에 접속하셔서 /auth ~~~~를 치시면, 해당플레이어는
어드민이됩니다.
이 글에서는 포트포워딩을 다루지 않고 있습니다.
공유기를 사용하시거나, IPTV, IP전화 등을 사용하신다면
포트포워딩을 꼭 하셔야 합니다.
포트포워딩은 나중에 별도로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D
이만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
P.S. 구동에 문제가 있으시다면 덧글로 질문을 부탁드립니다
'서버 > 게임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테라리아 서버 만들기 (0) | 2014.11.02 |
---|